비트코인, ETF 열풍 속 폭등… 과열 경고에도 상승세 지속

암호화폐 시장의 대표주자인 비트코인이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2021년 11월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1년 만에 70% 이상 폭락했던 비트코인은 2년 4개월 만에 다시 급등세를 타고 있다. 이번 상승장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로 인한 기관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비트코인 가격, 연일 최고가 경신

가상자산 정보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7만 3천 달러 선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최고 7만 3,573.91달러까지 올랐다. 최근 일주일 사이 7.6% 상승했으며, 연초 대비 73.9% 급등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도 비트코인 가격은 일주일 동안 약 9%, 연초 대비 78.2% 상승하며 한때 1억 500만 원까지 치솟았다.

ETF 출시로 수요 폭발

비트코인의 폭등 배경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지난 1월 11일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 출시를 승인한 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아이셰어즈 비트코인 트러스트(IBIT)’ 펀드를 출시했으며, 단 하루 만에 8억 4,900만 달러가 유입됐다. 같은 날 상위 10개 비트코인 ETF에 유입된 자금은 총 10억 달러에 달했으며, 1월 11일부터 3월 12일까지 누적 자금은 111억 달러를 넘어섰다.

미국 블룸버그 통신은 “비트코인의 주간 채굴량은 약 6,300개 수준인데, 최근 주간 매수 수요는 4만 개를 넘어서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관투자자들, 지속적 매수 전망

기관투자자들의 비트코인 매수 행렬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JP모건은 향후 2~3년 내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 규모가 620억 달러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석문 코빗리서치센터장은 “비트코인 투자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자산운용사들의 비트코인 배분이 증가하고 있다”며 “자금 유입이 지속되면 수요가 가격을 떠받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영증권의 임민호 연구원은 “상장지수펀드를 통한 수요가 공급을 압도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과거 상승 사이클에 비해 현재 가격 수준은 과열 단계에 이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정치적 변수와 시장 전망

비트코인 가격은 미국 대선 결과에도 큰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는 “재집권 시 비트코인 결제를 허용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암호화폐 규제를 지지하는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대선 결과가 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할 수 있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단기 조정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디지털자산 분석회사 스위스블록은 비트코인 가격이 단기적으로 5만 8천~5만 9천 달러 수준으로 조정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임 연구원은 “밈 코인과 AI 코인 급등은 투기적 수요를 반영한다”며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 간 수요가 혼재된 시장 상황에서 무분별한 추종 매수는 위험하다”고 경고했다.